에세이 26

조선돈 다 모였던 곳 본정통 은행거리 - 제1은행, 18은행, 58은행

‘본정(本町)’을 일본에서는 ‘혼마치’로 읽는데 일본 행정구역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읍·면에 해당한다. 그러니 본정은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중심가를 일컫는 말이다. 일제강점기에 서울의 충무로, 부산의 동광동, 광주의 충장로 등 중심가를 ‘혼마치’로 불렀다. 거리 이름만으로도 인천에서 일제강점기에 가장 번화했던 곳이 바로 본정통 은행거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은행거리에 있는 중구청은 인천이 개항하고 난 뒤에 일본 조계지 내 일본인을 보호하기 위해 1883년에 영사관을 지었던 곳이다. 1906년에는 여기에 일제가 통감부를 설치하였고 1910년 조선애 총독부가 설치된 이후에는 인천부 청사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인천시청으로 사용되다가 지금은 중구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청 앞 거리에는 지금도 일본 가..

에세이 2023.07.18

130여 년 전에 태어난 인천시민애집

19세기 중반 조선은 먼저 근대화를 이룬 서구 세력의 압박을 받으며 나라의 문을 여느냐 마느냐 문제로 심각한 갈등을 겪었다. 1866년에 대원군이 쇄국정책으로 천주교 신도를 대량 학살한 병인박해가 일어나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참략해 들어와 병인양요가 일어난다. 1871년에는 미군이 강화도를 침략한 신미양요가 일어나고 1875년에는 일본이 운요호로 강화도와 영종도를 침략해 들어왔다. 이렇게 19세기 중반에 외세의 침략에 시달리다가 결국 1876년에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채결하여 개화 개방 정책이 본격화하게 된다. 개화 개방의 흐름은 개항 도시 인천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1888년에 최초의 서구식 근대 공원인 각국공원(현 자유공원)이 들어서고, 인천항 쪽 산비탈에 외국인들의 사교장 제물포구락부(..

에세이 2023.07.17

3.8 여성의날을 맞아 되새기는 조선의 위대한 여성 선각자 김마리아

3월 8일 오늘은 114주년을 맞는 세계여성의 날이다. 1908년 뉴욕의 봉제공장 여성 노동자들이 참정권을 요구하며 시위한 날을 기념하여 제정되었다. 대한제국이 망하기 두 해 전인 구한말 시대에 미국에서는 여성노동자 수만 명이 가두시위를 했다는 게 참 놀랍다. 동양 사회는 성평등 의식이 뒤쳐지고 남성 중심 문화가 아직 만연하다는 인식이 아직 많이 남아있는데 구한말 이 나라에도 위대한 여성 선각자가 많았다는 걸 알면 우리 조상들의 전근대 문화만 탓할 수 없을 것이다. 조국 독립을 위한 비폭력 저항운동이 우리 역사의 자부심으로 남아 있듯이 이 투쟁을 이끈 여성 선각자의 일대기는 우리 민족의 선진 문화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한다. 1919년 조선에서 벌어진 3.1만세 비폭력 저항운동이 중국의 5.4운동, 인도..

에세이 2022.03.08

황진이를 그린 소설과 영화에 얽힌 사연

북의 작가 홍석중의 『황진이』와 남의 작가 최인호의 『황진이』를 같이 보면 역사를 보는 시각에 대해 진지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북한 작가 홍석중의 소설을 남한에서 영화로 만들어 남과 북에서 같이 상영한 일은 우리 역사 공부에도 엄청나게 큰 기여를 한 셈입니다. 홍석중 원작 장윤현 감독 영화에서 ‘진이’가 사랑하는 ‘놈이’의 유골을 깊은 산중에 들어가 뿌리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은 실제로 북한 금강산에서 촬영한 것입니다. 2007년 일입니다. 제가 금강산에 간 게 2009년인데 그 무렵의 일이 아득한 옛날 같습니다. 북의 작가가 쓴 작품으로 영화를 만들고 남과 북을 오가며 촬영을 하던 그 시절이 너무나 그립습니다. 『황진이』를 촬영했던 금강산 옥류동 계곡에서 북한의 젊은 안내원들과 한 잔 술을 마시며 이..

에세이 2022.03.07

시공(時空)을 넘어 한판으로 어우러지다 <판소리인문학 춘향가 완청(完聽)>

6월 4일부터 한 달 동안 매주 금요일 저녁에 학산소극장에서 공연이 진행되었다. 판소리 완창(完唱)은 전통 국악 분야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고 경지가 높은 연희 갈래라 소리꾼에게는 너무나 힘겨운 작업이다. 소리꾼뿐만 아니라 청중에게도 판소리 완청(完聽)은 사설의 이해도 만만치 않고 공연 시간이 장장 6시간에 달해 참 고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춘향가 완청’은 청중들이 보다 수월하게 완창 공연을 듣고 즐길 수 있도록 전문가 해설을 덧붙여 4회에 걸쳐 진행함으로써 소리 듣는 이들이 귀명창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 매주 금요일 총4회 공연, 인천학산소극장, 2021.6.4.~6.25. ⓒ사단법인 우리소리 사설이 어려워 깊이 빠져들기 어려운 점이 있지만, 판소리는 미학적으로 다양한 미적 범주..

에세이 2021.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