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팩션 세계사 41

영국의 산업혁명과 애덤 스미스 고전경제학의 탄생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대전환기에 세계 지배 패권이 지중해 연안 국가, 그리스 로마에서 대서양 연안 국가, 네덜란드 스페인 영국으로 넘어가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일은 역사 발전의 동인(動因)을 이해하는 키포인트라 할 수 있다. 패권국이 지중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해 갔다는 흐름 패턴은 대체로 파악되지만 그 근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도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항해술의 발달을 가져온 해양 문화가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학설과 함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이론이 향신료 전쟁설이다. 이 학설에 의하면 왜 그렇게 많은 나라들이 동방 인도로 가는 길을 개척하기 위해 혈안이 되었는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대표적인 향신료인 후추가 그 당시에는 황금보다 더 비쌌다는 게 도대체 이해가 안 되지만 실..

자라투스트라, 소크라테스, 공자, 철학을 낳다

BC5세기경 고대문명의 비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 B.C 5세기 유적(가운데 조로아스터 형상) 현재까지도 사람들이 성인 또는 현자로 받들고 있는 조로아스터(자라투스트라), 석가모니, 공자, 소크라테스가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 아닌가? 이들은 대체로 기원전 5~6세기에 활동한 인물들로 신앙의 대상으로 추앙받거나 스승으로 존경을 받고 있다. 이들 인물들이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가 무엇이며 공통되는 요소가 있는지 면밀히 살펴봐야 하겠지만 이질적인 문화를 하나의 공통분모로 묶기 위한 이론을 만든 작업의 결과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인간은 결국 한 조상의 자손이며 궁극적으로는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는 가르침이 왜 필요했을까. 조로아스터교를 비롯한 중동 지방의 종교는 이런 설화..

[햄릿]과 함께 르네상스 탐사

문명 중심 이동과 근대의 시작 ⓒ 구글 지도 세계사가 서구 중심으로 서술되어 한계가 많은 가설이긴 하지만, 문명의 중심은 지중해의 동쪽 끝 아라비아 지역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해 간 것으로 보는 것이 쉬운 이해 방식이다. 이스탄불 해협 동쪽에서 선진문명이 태동하고 해협을 사이에 둔 두 문화권이 서로 맞서 있으면서 지중해 극동지역은 문명의 중심으로 성장하게 된다. 고대사는 서양 그리스 문명과 동양 페르시아 문명이 이스탄불 해협을 경계로 대립 경쟁한 역사로 단순화시켜 이해할 수 있다. 그리스 문명은 동방의 지혜로부터 충격을 받아 성장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합당하겠고 동방 세계의 선진문물을 배워 서방의 미개 지역을 정복해 들어간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서구 문화는 지중해 동편에서 서쪽 끝..

프랑스 혁명 전후 예술 사조 이해 -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

여러분은 프랑스 혁명이 일어났을 때 시민들이 왕을 광장으로 끌고 나와 목을 잘라 죽인 사실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때 죽은 프랑스 왕이 루이 16세이고, 숙청된 부르봉 왕가의 문화 유행을 '바로크'라고 부릅니다. ‘바로크’ 문화예술은 귀족의 화려함을 특징으로 합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이성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