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팩션 세계사

기독교는 어떻게 세계종교가 될 수 있었을까

체거봐라 2008. 10. 28. 15:35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는 기원이 같다고 할 수 있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지역 및 페르시아 지역은 아브라함과 모세의 설화를 공유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도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은 인류학의 연구 성과에 의해 현생 인류의 조상이 아프리카에서 이동 정착하여 농경 문화를 일구어낸 곳으로 밝혀졌다.

 

애니미즘은 수렵채취 경제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사유체계이며, 토템은 기후 상태의 영향으로 생겨난 사유체계라고 할 수 있다. 천신사상은 토템의 발적적 형태이라고 볼 수 있는데, 고등종교도 근본적으로는 토템과 천신사상이 발전하면서 점점 풍부해졌다고 할 수 있다. 고등종교에서 공통으로 발견할 수 있는 신격의 위계체계와  내면 지향성(주관적 요소 또는 구도적 요소)은 고대 국가 체계의 형성과 긴민할 연관 관계가 있다고 본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공통점은 지리적 친근성뿐만 아니라 유일신 사상에서도 찾을 수 있다. 또한 유일신과 인간을 매개하는 메시아라는 존재를 핵심으로 하는 사유체계라는 공통점도 발견할 수 있다. 유일신 사상은 농경사회가 필연적으로 배태할 수밖에 없는 사유체계이고 농업혁명으로 인해 국가체계가가 형성되면서 더욱 정교해졌다고 본다. 근동지방(아랍세계)에서 발생한 원시종교가 크게 발전하여 세계종교화 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 유일신 사유체계 덕분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시 말해 다양한 종교관념 중 신격의 위계체계를 발전시킨 종교가 세계종교로 먼저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메시아'라는 매개체계를 성숙시키는 것 또한 종교 관념이 대중성을 획득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세속 세계의 지배자는 권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권력 기원을 가질 필요가 있었고 뿐만 아니라 신격과 인격을 논리적으로 일체화 하는 사유체계도 필요했던 것이다. 따라서 유일 권위와 인간화를 겸비한 기독교가 세계 종교로 전파될 수 있는 장점을 모두 구비했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가 로마제국의 성장과 팍스로마나의 완성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세계화한 측면을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생산성의 극대화는 필연적으로 관리 시스템의 양적 성장을 가져오는데 이는 국가 권력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한다. 물질적 풍요가 물리력의 양적 팽창을 가져온다고 보는 것이 상식적으로 올바르다. 물리력의 양적 팽창이 세계사적으로 가시화된 사건이 바로 알렉산더로 대표되는 희랍세계의 동방 원정과 흉노제국의 아시아 대제국 형성이라고 본다.

 

물리력만으로 세계 지배 시스템을 관리 운영하는 것이 한계에 봉착했을 때 위계 질서의 내면화를 꾀하게 되는 게 순리이다. 기원 전후에 나타난 거대 사유체계의 공통점은 바로 내면 지향성이었다. 기독교는 유대교와 이슬람교에 비해 내면 지향성과 일원론적 위계질서라는 모순관계를 상대적으로 빨리 발전시킨 사유체계라고 할 수 있다. 기독교가 이런 성장 발전을 이루어낼 수 있었던 것은 내부 모순 때문이었다. 기독교는 발생할 때부터 내부적으로 심각한 갈등을 거듭한 종교이다.

 

유대교과 분리되면서 겪었던 갈등, 로마 식민지로 탄압을 받으면서 겪었던 갈등, 이교도를 전도하면서 겪은 갈등, 메시아의 신격에 대한 논쟁 등을 거치면서 기독교는 세계 지배 질서를 내면화시킬 수 있는 이데올로기적 장점을 갖게 된 것이다. 기원후 300년경 로마가 기독교를 국교로 정하면서 기독교는 서구 사회의 정신적 토대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는데 이런 성장 발전은 사유체계가 인간 정신을 더욱 고양시키는 장점을 가져서라기보다는 지배질서를 합리화하는 데 적합한 사유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물론 이런 적합성은 끊임없는 자기 부정의 시련을 통해 획득하게 된 것인 만큼 일면 소득이라 할 수 있다.

 

관련 영상물 

 

다큐멘터리---------------------------------

기독교 5000년사

성서를 파헤쳐라 Excavating The Bible, 2CD

성서는 누가 썼을까, 3부작

금지된 성서

사해 사본에 감춰진 비밀   

성모 마리아,  BBC

예수의 실제 이야기 Jesus The real story, 3CD,  BBC

성서에 없는 예수 이야기, 2CD 

막달라 마리아의 정체  

사도 바울,  BBC

 

영화---------------------------------------

[마태복음] 예수의 삶을 성서에 충실하게 그린 파졸리나 감독의 영화

[그리스도의 마지막 유혹]

[그리스도의 수난]  예수의 사망을 극사실주의 기법으로 그려낸 영화.

[미러클 워커] 영화

[왕중왕] 영화

[벤허]   로마 제국 시대 팔레스타인 지역의 유대인 박해를 다룬 영화

 

* 카트린 클레망의 [테오의 여행]은 고등학생에게 권할 만한 종교사 개론서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