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87

지정의(知情意), 현실(現實) 진실(眞實) 성실(誠實)

사실과 진실은 어떻게 다른가요? 흔히 대하게 되는 질문입니다. 그런데 막상 이 질문을 받으면 뭐라고 답해야 할지 주저하게 됩니다. 자주 쓰는 말인데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 하고 있지요. 워낙 영어를 열심히들 배우니 fact와 truth로 대비하면 의미가 좀 분명해질까요. 그래도 잘 모르겠지요. 저는 진실과 사실을 지(知)와 정(情)으로 구분하고자 합니다. 이렇게 대비하면 훨씬 쉬워질 겁니다. ‘진실성’은 ‘진정성’이라는 말로도 흔히 사용합니다. ‘진정(眞情)’은 ‘참뜻’으로 풀이됩니다. 진(眞)은 [설문해자]라는 한자 자원(字源) 해설집에서 ‘날아오르는 신선’을 의미하는 글자로 풉니다. 저는 그냥 흔히 하는 말로 ‘주님의 뜻’으로 이해할 것을 권합니다. 여기서 ‘주님’은 물론 특정 종교의 신격으로 곡해하지..

1919년 3.1만세운동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3.1절은 국경일이라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런데 3.1만세 운동이 무오독립선언에서 비롯되었으며 만주와 국내 독립선언을 조직한 사람이 몽양 여운형 선생이라는 것과 동경에서의 2.8독립선언을 포함한 모든 독립선언의 출발점에 신규식 선생이 있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3.1절 기념일을 맞아 상해, 간도, 동경, 서울에서 일어나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된 독립선언 항쟁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는지, 그 일을 구상하고 실행한 선각자로 어떤 분들이 있었는지 되새겼으면 합니다. 신규식 선생은 조선인으로 중국 혁명에 주도자로 참여하신 분입니다. 중국 혁명의 아버지 진독수와 이웃집에 살며 친하게 지낸 친구였고 중국 신해혁명의 지도자 손문과도 가까운 사이였던 신규식은 조선 독립 운동의 아버지였습니다. 그는..

카테고리 없음 2021.02.28

엄혹한 시절 '태평천하'로 비꼬다 - 채만식 [태평천하]

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민족자결주의 사상이 널리 확산되고 러시아 혁명과 중국 모택동 대장정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세계사 판도를 크게 바꾸게 되면서 조선 사회도 혁명 이념이 지식인 사회의 주류가 되었습니다. 한편으로 1930년대는 제국주의가 광기를 더해가는 시대이기도 했습니다. 1937년에 일본은 중국 본토를 침략해 들어가고 독일이 1939년에 폴란드를 침공하며 2차세계대전이 발발합니다. 일본의 중국 침략이 어떠했는지 보려면 난징대학살 사건을 보면 됩니다. 일본은 난징에서 너무나 끔직한 짓을 저질렀어요. 조선의 지식인은 그 소식을 다 듣고 있었지요. 조선 독립에 대한 희망이 뿌리째 뽑혀 나갔고 많은 지식인이 일제에 협력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이는 일본 제국을 위해 충성을 바쳐 일본인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

카테고리 없음 2020.10.22

이육사, 육시랄 놈의 역사를 노래하다 - MBC 광복절 특선 드라마 『절정』

이육사의 대표작 을 감상하면서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구절을 읽을 때 끔찍한 느낌 받았나요? 그냥 과장된 표현이라고 생각하며 별로 충격을 받지 않았을 거라 짐작합니다. 그런데 이육사는 실제로 끔찍한 일을 많이 겪었습니다. 그의 삶을 꼼꼼하게 들여다보면 '칼날 위에 선다'는 표현도 그의 끔찍한 생애를 담아내기에는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가 얼마나 시련을 겪었는지 간접적으로나마 체험을 해보면 그의 시가 여실하게 가슴을 때립니다. MBC 광복절 특선 드라마 『절정』으로 그의 삶을 좇아가 봅시다. 영화는 ‘이육사’가 일본 유학중 관동대학살(1923년)을 목격하는 것으로 그의 비참한 삶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이육사’가 일본에 가서 겪은 관동대학살은 너무나 끔찍했..

카테고리 없음 2020.10.19

다른 애한테 더 잘하는 엄마 - 조희양 단편 아동소설 「드디어 엄마를 찾았다아」 초4남

아이가 친구 관계도 어려워하고 학교 다니기를 힘들어 하면 부모는 이 아이가 왜 이렇게 되었을까 고민을 하면서 어릴 때 아이에게 뭔가 잘못한 게 없을까 뉘우치게 됩니다. 아기 때 잘 돌봐주지 못한 걸 후회합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옛말도 있지 않습니까. ‘그 때 잘했..

엄마가 없어진다면 - 김희숙 단편 아동소설 「엄마는 파업 중」 초5여

대부분의 동화는 분리 불안과 기아(棄兒, 아이를 버림) 공포를 다룹니다. 유아기를 지배하는 정서는 엄마와의 유대감이니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엄마와의 애착 관계가 잘 맺어지지 않으면 아이는 자존감이 떨어지고 대인관계를 어려워하게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요즘 엄마들은 대부분 ..

엄마 사랑은 EQ의 출발 - 부모 없는 아이들 - 박은형 감독 영화 『마음이』

우리 집에는 대를 이어 내려오는 관습(?)이 있습니다. 애 엄마가 어릴 때 했던 행동을 꼬맹이가 그대로 계승했으니 이제 우리 집 관습으로 자리 잡았다고 해도 될 것 같습니다. 대대로 물려줄 유산이란 게 뭐 별거입니까. 저 나름으로는 수만금보다 더 귀한 유산일 수도 있다고 혼자 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