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64년 로마 대화재 - 로마에 의한 기독교 박해 서기 64년 영화 [쿼바디스] 폴란드의 노벨상 수상 작가 헨리크 생키에비치의 원작을 영화한 작품입니다. 1951년작 영화가 제일 유명하지요. 2001년, 2004년에도 리메이크되었습니다. 성서 중에서는 베드로의 이야기 부분에 해당합니다. 역사적 사실로 보면 안 되고 로마에 의한 기독교 박해를 가장 극적으.. 공감 팩션 세계사 2009.03.26
형제 가족 - 우리 형 성장소설이 청소년의 세상 익히기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성장기를 다룬 영화도 마찬가집니다. [우리형]은 홀어머니가 키운 두 아들 예깁니다. 형은 어릴 때부터 장애를 갖고 태어나 어머니의 극진한 보살핌을 받지만 동생은 항상 찬밥 신세라 자라면서 삐뚤어집니다. 그.. 힐링 씨네마 2009.03.22
전통사회의 여성의 정체성 문제, 뉴질랜드 원주민의 문화 - 웨일 라이더 우리와는 너무 먼 곳의 이야기 같지만, 사람 사는 게 다 똑같구나 싶게 만듭니다. 자연과 인간의 교감, 인간이 살아가면서 만들어진 관습 등 사람 사는 곳의 보편적인 문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합니다. 뉴질랜드 원주민의 이야기를 안방에 앉아서 영상으로 볼 수 있는 건 큰.. 힐링 씨네마 2009.03.22
기원전 3000년 경부터 이집트 문명의 불가사의 이집트 문명에 대해 연구하면서 자연스럽게 몇 가지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집트 문명권은 어떻게 3000여 년이라는 엄청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었는지, 아직도 그 용도를 분명히 알 수 없는 거대한 건축물을 왜 만들었는지 하는 의문을 아니 가질 수 없다. 피라미드가 범람기의 공공사업이었다는 가.. 공감 팩션 세계사 2009.03.21
파자(破字) 개념론 - 비유와 상징은 예술의 본질 과학이 객관적 사실을 개념으로 드러낸다면 예술은 주관적 정서(느낌, 감정)를 형상으로 드러냅니다. '드러내다'는 말이 의미가 모호해 확실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술은 '표현한다'고 하고 과학은 '규명한다'고 합니다. 사실 표현과 규명은 으미가 그리 다르지 않은 말입니다. 表現(표현)은 겉.. 철학 스토리텔링 2009.03.20
파자(破字) 개념론 - 예술적 언어과 과학적 언어 2 槪念(개념)의 '槪'는 나무(木)과 旣(이미 기)가 결합된 글자입니다. '旣(이미 기)'는 참 재미있는 글자인데 사람들이 어려워 합니다. 이 글자는 '食(밥 식)'에 '旡'가 결합된 글자입니다. 밥상과 뒤돌아 앉은 사람을 본따서 만들어진 글자로 '밥을 이미 다 먹었다'는 뜻입니다. 槪는 '대개'라는 뜻을 가진 글.. 철학 스토리텔링 2009.03.19
苦香沈重 苦香沈重 오늘 비로소 꽃망울을 터뜨렸구나. 며칠 동안 애를 태우더니 기다림이 얼마나 깊었으면 향기가 이리도 무거우냐. 너무 깊어지면 다른 세계가 열릴 수도 있다는데. 우리가 한없이 기다려 피안을 꿈꾸는 것처럼. 더도 덜도 말고 지금만 같아라 수없이 외지만 꽃망울이 터지면 또다른 아침을 맞.. 창작시 2009.03.18
학교로 돌아가며 - 책상물림 비가(悲歌) 책상물림 비가(悲歌) 인성여자고등학교 이한수 긴요치 않은 얘기를 늘어놓는 것 같아 무척 불편하지만, 수 천 조합원을 대신한 일 년을 마감하며 소회가 없는 것도 말이 안 되니 진심을 다하여 배운 바를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일 년 동안 수많은 얘기를 들었는데, 뇌리에 박힌 이야기는 최근 한두 달 .. 에세이 2009.03.11
BC 2000 성서로 보는 메소포타미아 역사 수메르인이 메소포타미아 지방으로 남하하여 정착한 시기는 대략 기원전 3500년 경이라고 본다. 수메르는 메소포타미아 남쪽 지역의 지명이었는데 북쪽 지역을 차지하고 있던 아카드인과 경쟁 대립했다. 기원전 2000년 경에 새로 이주해 들어온 아모리족에 의해 바빌로니아 왕국은 강력한 통일 왕조가 .. 공감 팩션 세계사 2009.02.23
결혼 이주에 관한 추천작 - [미남이시네요] 2005년에 나온 작품이니 신작이랄 수도 없네요. 우연히 보게 된 영화인데 아주 마음에 듭니다. 우리나라 영화 <나의 결혼 원정기>의 프랑스판이랄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주 노동자가 100만 명에 달하고 결혼이주 여성이 10만 명을 넘는 사회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결혼 이주와 국제결혼 자녀의 교육.. 힐링 씨네마 2009.02.18